나의 금융투자성향은 어떤 쪽일까?
나의 금융투자성향은 어떤 쪽일까?
안녕하세요
설날이 다가왓습니다
우리는 설날 새해 소망으로 무엇을 빌엇나요~?
대부분 우리는 행복과 건강 돈을 빌게 됩니다
돈을 크게 벌고 싶을 때 우리는 제테크를 하거나
투자를 하여 돈을 버는데요
투자를 할때 우리는 자신만의 성향에 맞춰서
투자를 하게 됩니다 이런 나의 금융투자성향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투자성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
여러 가지 판단 기준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투자위험을 얼마나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투자위험이란?
투자수익률이 기대한 값(기대수익률)에서 얼마나 벗어날 수 있는가를 의미하며,
보통 수익률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투자성향에 따라
어떤 사람은 위험이 높은 자산에 투자하기도 하고, 반대로 전혀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 하기도 합니다.
개인의 경험이나 나이, 직업등이 투자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30대 초반의 투자자와 50~60대 투자자가 위험을 대하는 태도는 다를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직업적으로 보면 현금흐름이 좋은 직업을 가지고 잇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투자자보다
위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고 나이가 많을수록 위험을 회피하고 안전한 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투자성향은 어떻게 구분될까?
일반적으로 정량적인 데이터와 정성적인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는데 절대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이러다보니 투자성향을 구분하는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은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 글의 5가지 투자성향별 특징으로 볼 때,
투자성향이 보수안정 추구형에서 적극수익 추구형으로 갈수록 투자에 따른 원금손실 가능성이 커지므로,
이는 그만큼 기대수익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5가지 투자성향별 특징
□보수안정 추구형
-투자한 원금에 대한 손실을 원하지 않음
-기대수익률이 낮더라도 원금손실이 거의 없는 안전한 금융상품에 주로 투자
-미래의 확실한 원금보전과 환금성을 고려한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재무목표 달성을 위한 기대수익률을 맞추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안정 추구형
-보수안정 추구형보다 위험을 더 많이 감수함
-안정성 위주의 투자결정
-일정 부분까지는 위험을 허용하지만 대부분 투자원금이 보호되는 자산에 투자하기를 희망
□안정수익 추구형
-일부 투자자산에 대해서는 추가 수익을 기대하며 일정 수준의 원금손실을 인정
-투자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 상당수가 여기에 포함됨
-주식형 상품에도 투자하지만 시장상황이 변하면 시장변화에 민감하게 대응
-주식형 상품은 일부만 포함하고 위험이 작은 상품이나 채권형 중심으로 자산을 구성
□수익 추구형
-유동성 확보를 위한 일부 자산을 제외하고는 위험이 높은 자산에 투자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로서 높은 수익을 내는 데에는 위험도 함께 증가한다는 것을 잘 인식함
-위험이 높은 주식형 펀드의 비중이 높고 채권형 펀드도 함께 자산으로 구성
□적극수익 추구형
-수익추구형 투자자와 마찬가지로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서라도 고수익을 추구
-예상수익이 높다고 판단되면 주식이나 파생상품과 같은 위험이 큰 투자 상품에도 기꺼이 투자
-원금손실이 있더라도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높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고 생각
금융투자를 할 때에는 자신의 성향을 고려해서
투자를 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투자에서 자신이 원하는 투자 성향은
안정중시인지 수익중시형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투자를 하면서 금융에 대해 잘 모를 경우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전문가와의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